안정화 매커니즘 소개
Last updated
Last updated
라운드주기
1일(24시간) 기준으로 하루 3회 Kp의 twap 기준가를 확인하여 확장/축소 상태를 결정합니다. 확장시에는 kp를 추가 발행하며 축소상태시 kpb를 발행할지 보전수익펀드의 기능중 하나인 바이백을 진행할지 결정합니다. 라운드주기는 추후 변경될수있습니다. 라운드 주기 및 시간은 런칭시 기재
(이는 klaypay v2인 크립토 담보기반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병행 및 생태계 확장시 변경될수 있습니다.)
Twap(시간가중평균가격)
twap기준가격은 이전라운드 시작시점부터 현재라운드 시작시점까지의 평균가격이며 klayswap and claimswap의 kp:usdt lp 에서 형성되는 kp의 8시간동안의 시간가중 평균가격입니다.
(추후 체인링크 오라클로 변경될수 있습니다.)
예상가격은 현재라운드 시작시점부터 다음라운드 시작시점까지의 8시간동안의 평균가격입니다.
확장상태
라운드 시간시간의 kp twap 가 1$이상일 때 확장상태가 되며 kp의 유통량과 아래에 기재된 발행한도에 따라 kp가 추가발행됩니다. 추가 발행된 kp는 klaypay 홈페이지에 kps를 단일예치한 이용자에게 비례분배됩니다. 초기 21라운드까지는 확장라운드의 kp 추가 발행한도는 3%로 고정되며 이후 아래에 기재된 table1 에 근거하여 kp가 추가 발행됩니다.
이때 추가 발행된 kp의 10% 는 팀펀드로 적립되어 마케팅 비용 및 klaypay R&D 비용으로 쓰여집니다.
이부분 또한 회계감사후 공지 드리겠습니다.
축소상태
가상화폐시장의 하락과 klaypay홀더들의 이탈 및 kp가 시장에 너무 많이 유통되어서 KP가 $1미만일 경우, 보전수익 펀드의 KP 바이백 혹은 KPb가 유통됩니다. 기한이 없는 Bond로서 언제든 KP로 다시 환전할 수 있으며 메커니즘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축소 상태에서만 KP → KPb로의 구매 가능함
이 때 사용된 KP는 소각
줄어든 KP 통화량으로 인해 KP의 가격은 $1 미만에서 $1로 근접
축소/확장 상태 어느 경우에서라도 KPb → KP로 상환이 가능함 (1:1 교환 비율)
단, 축소 상태에서 KPb → KP로 상환이 이뤄질 경우 알고리즘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10%의 페널티 부과 (0.9:1 교환 비율)
확장 상태에서 KPb → KP 상환시 추가 인센티브로서 KUSDT 코인을 지급
보전수익펀드소개
Preservation & Profit Fund Contract (보전수익 펀드)
확장 상태일 때 KP → USDT 교환 (매도)
축소 상태일 때 USDT → KP 교환 (매수)
보전수익 펀드로 조성된 KP는 KUSDT, KDAI, KUSDC, KLAY, KSP, CLA 등의 스테이블 코인과 연동된 유동성 풀에 투입되어 수익화를 진행합니다. 이는 KP의 가격 안정화를 꾀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수익화로 KP의 가치 상승과 안정적인 지급준비율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입니다.
수익화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동성 일드파밍: KP KUSDT, KDAI, KUSDC, KLAY, CLA 등으로 변환하여 수익을 추구
금융전문가의 운용을 기반으로 한 AI 매매
두 번째 방법인 AI 매매의 경우에는 참고할만한 상품으로서 Yearn Finance를 들 수 있습니다. Yearn Finance의 초기 AI 블록체인 DeFi 운용 상품인 Earn은 이더리움 기반의 자산운용 프로토콜로서 다음과 같은 투자 메커니즘에 의해 AI가 자산을 운용합니다.
1. 투자자가 Yearn Contract에 자산을 예치함. 이 때, 투자 보증서로 yToken을 받음.
2. Earn Contract는 각 대출 프로토콜로부터 현재 자산의 이자 정보를 가져옴.
a. 취급하는 대출 프로토콜: Compound, Aave, Dydx, Curve, UniSwap, 그리고 Fulcrum 등
3. 연이율이 가장 높은 대출 프로토콜을 투자 대상으로 결정함. 이전에 투자했던 플랫폼이 아닐 경우 기존 투자금을 회수하여 새로운 대출 프로토콜에 투자함.
4. 투자자는 언제든 yToken을 반환하고 투자금을 인출할 수 있음.
MakerDAO의 DAI를 예로 들자면, Earn에 예치된 DAI는 AI에 의해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대출 프로토콜로부터 DAI를 예치했을 때 얻게될 예상 연이율 정보를 가져옵니다. 각 대출 프로토콜 중 가장 연이자가 높은 대출 프로토콜에 자산을 투자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DAI에 대한 각 대출 프로토콜의 연이율은 변경될 수 있는데, 이 때마다 Earn은 가장 이자가 높은 곳으로 투자자들의 자산을 옮겨 다닙니다.
그러나 Earn은 Yearn Finance에서도 초기에 제작했던 프로토콜인 만큼, 여러가지 완결성에 문제들이 존재했습니다. AI의 수준도 최신 기술을 동원해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델링해서 의사결정을 내린 수준은 아니었으며 이에 반해 KP 프로토콜의 AI 기반 자산운영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수익률과 안정성을 동시에 최대로 추구할 수 있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것이고 관련 알고리즘과 수학/공학적 접근은 지속적인 포스팅과 자료 공개를 통해 제시할 것입니다.
AI에게 허용할 보전수익 펀드의 초기 투자처/거래처로는 바이낸스, 업비트, 빗썸 등이며 상기 서비스업체와의 연동을 통하여 보전수익 펀드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도모 할것입니다.
라운드 시작일 때 확장 상태에서 KP 추가 발행과 더불어 보전수익 펀드 적립만을 위한 KP가 추가 발행된다. 추가 발행 비율은 KP 통화량의 3%와 TWAP기준가를 이용해 계산한 비율 중 작은 값을 선택한다.
보전수익 펀드 적립 방식
여기서, MIN(3%, rate) 계산은 3%와 rate 중 작은 값을 선택하라는 연산을 의미한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수학의 연산을 차용한 것이다. (min(a, b) = a와 b 중 작은 값을 선택)